본문 바로가기

I.랄라 목조주택/주택과기술

Info:귀농귀촌을 위한 주택설계 2st - 모델하우스를 한번 가보자..

그럼 제 2st - 모델하우스를 꼭 가보자.

 

본인과 가족들이 살고자 하는 삶의 형태와 이러저러한 주거패턴과 인테리어 디자인 등이 떠오르셨다면

이를 바탕으로 실제 모델하우스를 한번 방문해보세요.(주택회사를 방문하셔도 되고 지인 중에 이미 주택을 건축하신 분들을 방문해 보셔도 됩니다.)

 

이때 중요한 것이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의 업체나 그지역에 지어진 주택은 피하고 본인이 앞으로 가서 살고자 하는

지역의 업체나 지어진 주택을 방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랄라의 Point's : 가서 살고자 하는 그지역의 모델하우스나 업체를 방문하자.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3가지의 중요성 때문입니다.

  

   첫 번째 : 지역에 따라 건축기준이 조금 상이합니다.

   바람, 기온, 동결심도, 습도 요즘은 미세먼지까지 여러 가지 건축기준을 상정하여 집을 짓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살고자 하는 곳의 샘플하우스를 보셔야 정확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모델하우스는 디자인을 보기도 하지만 살면서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파악하는 게 더욱더 중요한 부분입니다.

 

  두 번째 : 건축 후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생각하셔야 합니다.

  모든 건축물이 그러하지만 건축후 유지보수를 생각하셔야 합니다.

  모든 업자들과 건축회사들은 유지보수에 비용을 책정하기도 하도 유지보수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고들 말은 합니다만.

  문제는 대한민국의 메이저급 건축회사들 안 자체 기술자들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커진다 저희와 같은 소규모

  업체나 개인 목수들에게 시공의뢰를 맡기죠..

 

  문제는 하청구조이다 보니 책임소재가 불분명하고 시공비에 유지보수 비용을 대부분 지급하지 않아.

  집에 문제가 생겨도 신속하게 대응이 잘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그지역 업체와 집을 짓는다고 해서 100% 보장되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그지역 업체는 상당히

  많은 눈치를 보죠 특히 시골에 가면 거의 같은 커뮤니티를 가지게 되니까. 눈치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세 번째 : 커뮤니티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귀농과 귀촌하시는 분들은 특히 지역민과의 커뮤니티를 소중히 생각하셔야 하는데 이때 지역에 상주하고

  있는 업체를 잘 선정하시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요즘은 각 지역민들이 건축 협동조합 형태로 지역 건축을 많이들 하고 있어 귀농, 귀촌 시에 건축뿐만 아니라

  하고자 하시는 일에 이런저런 사람들의 소개와 지역 커뮤니티 참가를 자연스럽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이 부분이 가장 중요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의 생활과 밥벌이에 직결되는 문제이니까요..

  귀농, 귀촌의 경우에는 시행착오를 1년 이상 줄일 수도 있습니다. 

   그도 저도 힘들다면 인터넷에서 저와 같이 개인 블로그를 방문해 참고하셔도 됩니다.

   아마도 궁금한 점은 댓글을 남기시면 잘 설명해 드릴 겁니다. 

 

   이때부터는 많은 정보를 취합하면 할수록 성공한 집 짓기에 또 한발 다가가는 것입니다.